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U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818
0
0
0
0
0
10년전
0
죽도기사, 1-2
PDF
구매시 다운가능
479p
36.2 MB
역사.문화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모두
『죽도기사』는 쓰시마가 막부의 명을 왜곡하여 울릉도를 침탈하려다 실패한 경험을 상세히 기록한 자료다. 죽도(울릉도)에서 어렵하는 안용복과 박어둔을 일본인들이 납치하여 그 처벌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톳토리(鳥取) 번주가 막부에 보고하자, 막부는 쓰시마 번에 조선인을 조선에 송환하고, 조선인의 죽도 도해금지를 조선에 요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자 울릉도를 의죽도, 죽도 등으로 칭하며 그것을 침탈하려 했던 쓰시마는, 그것은 숙원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조선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반론을 제기하여 조일 양국 간의 영토분쟁으로 커지고 말았다. 그 후 막부는 객관적인 사실을 조사하여 일본인의 죽도도해를 금하는 방법으로 죽도의 조선영유를 인정하고, 그 사실을 조선에 알릴 것을 쓰시마 번에 명했..
17,400
원 구매
목차
16
소개
저자
댓글
0
죽도기사 1-2
일러두기
편역주자 해설
大綱九段(元祿六年十一月)
주(절영도, 초량화관, 어치주, 접위관, 박동지, 여지승람, 차례,
大綱十段(元祿六年十二月①)
주(대청, 홍문관, 교리, 의례의 식전, 요코메, 대관)
大綱十一段(元祿六年十二月②)
주(숙배소, 사카노시타, 4배반, 술의 7배)
大綱十二段(元祿七年一月①)
주(차비관, 이조좌랑, 7~80년 전, 카라쿠니)
大綱十三段(元祿七年一月②)
大綱十四段(元祿七年二月①)
자료 및 참고문헌
색인
저작권 공지
『죽도기사』는 쓰시마가 막부의 명을 왜곡하여 울릉도를 침탈하려다 실패한 경험을 상세히 기록한 자료다. 죽도(울릉도)에서 어렵하는 안용복과 박어둔을 일본인들이 납치하여 그 처벌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톳토리(鳥取) 번주가 막부에 보고하자, 막부는 쓰시마 번에 조선인을 조선에 송환하고, 조선인의 죽도 도해금지를 조선에 요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자 울릉도를 의죽도, 죽도 등으로 칭하며 그것을 침탈하려 했던 쓰시마는, 그것은 숙원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조선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반론을 제기하여 조일 양국 간의 영토분쟁으로 커지고 말았다. 그 후 막부는 객관적인 사실을 조사하여 일본인의 죽도도해를 금하는 방법으로 죽도의 조선영유를 인정하고, 그 사실을 조선에 알릴 것을 쓰시마 번에 명했다. 1696년 1월 28일의 일이었다. 그러나 쓰시마는 그 사실을 조선에 알리지 않았고, 그 사이에 안용복은 쓰시마의 비리를 소송하기 위해 1696년(숙종 22년) 5월에 톳토리 번을 방문하였다. 당시 안용복은 오키에서「조선팔도지도」를 보이며 “‘다케시마(竹島)’는 울릉도이고, 마쓰시마(松島)는 자산(松島ㆍ당시 독도의 조선명)으로 모두 강원도에 속한 섬”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안용복의 활동으로 쓰시마 번은 어쩔 수 없이 막부의 결정을 조선에 알렸다.
1693년부터 1969년 사이에 일어난 이 일련의 사건들을 기록한 『죽도기사』는 독도에 관련된 고문서 중 가장 자세하고 중요한 자료다. 하지만 양이 많고 내용도 어려워 지금까지 그 전모가 일반에 소개되는 일이 없었다. 그러나 독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 자료를 언급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종종 이미 확보한 자료를 연구하는 것보다 새로운 자료의 출현을 기대하는 경향이 크다. 『삼국사기』의 우산국의 의미나 『숙종실록』이 전하는 내용이 사실에 근거한다는 것을 입증했다면, 독도에 대한 우리의 역사적 정통성에 아무도 의문을 제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 논문 등에 일본자료의 인용이 많은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원문을 확인하지 않고 일본이 편의적으로 인용한 것을 여과 없이 재인용하기 때문이다. 자주 인용되는 것이 『은주시청합기』, 『죽도고』, 『원록각서』, 『죽도기사』 등인데, 특히 민족주의자가 편찬한 『죽도고』의 인용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조선과 일본이 상대의 자료를 객관적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에 논쟁을 전개하는 것이 올바르다.
『죽도기사』는 사건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은 물론 결과까지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독도에 관한 모든 기록의 종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발간으로 독도에 대한 우리의 정통성이 강화되어 더는 불필요한 논쟁이 없길 바란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한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