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U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1,002
0
0
0
0
0
10년전
0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하
PDF
구매시 다운가능
692p
24.2 MB
한국소설
윤경수
한국학술정보
모두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 · 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¼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
28,800
원 구매
목차
101
소개
저자
댓글
0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하)
책을 내면서
제7장 갚음론(報答論)
Ⅰ. 들어가기
Ⅱ. 보(報): 선악의 미적(美的) 대상
제284사(事) 보(報: 갚음)-규장각본, 『가곡원류』 87-
제285사(事) 적(積: 쌓음)-『나무꾼과 선녀』-
제286사(事) 세구(世久: 대를 이어 오래됨)-『춘향전』의 농부
제287사(事) 무단(無斷: 끊어짐이 없음)-향가(鄕歌) 「풍요」 (
제288사(事) 익증(益增: 더하여 증가함)-『여유당전서』 권 14
제289사(事) 정수(庭授: 가정에서 이어 나감)-문묘에 배향(配享
제290사(事) 천심(天心: 하늘마음)-이천보의 『진암집』(晋庵集
제291사(事) 자연(自然: 저절로 그러함)-『보한집』의 최충 부
제292사(事) 중(重: 큼)-조수삼(趙秀三)의 『추재집』(秋齋集)
제293사(事) 유조(有早: 일찍 있음)-최치원의 『계원필경(桂苑
제294사(事) 공실(恐失: 잃을까 두려워함)-『경주 최부잣집 300
제295사(事) 면려(勉勵: 힘쓰고 권장함)-『여유당전서』 「두
제296사(事) 주수(株守: 뿌리지킴)-유치환(柳致環)의 「바위」
제297사(事) 척방(斥謗: 비방을 물리침)-『진본청구영언』 420
제298사(事) 광포(廣佈: 널리 폄)-영조의 「금오서원문」(金烏
제299사(事) 창(?: 시작함)-윤동주의 『새벽이 올 때까지』-
제300사(事) 유구(有久: 오래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제301사(事) 유린(有隣: 이웃이 있음)-『진본청구영언』 380-
제302사(事) 기연(其然: 그러함)-『삼국유사』 선율환생(善律還
제303사(事) 자수(自修: 스스로 닦음)-「덕진교(德津橋) 설화」
제304사(事) 불권(不倦: 게으르지 않음)-균여의 「예경제불가」
제305사(事) 욕급(欲及: 이르고자 함)-‘노힐부득 달달박박’의 설
제306사(事) 영(盈: 가득 참)-「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의 죄
제307사(事) 습범(襲犯: 범죄를 물려받음)-『콩쥐팥쥐전』의 팥
제308사(事) 연속(連續: 연이어 계속함)-우화시(寓話詩) 「이로
제309사(事) 유가(有加: 더함이 있음)-『금화사몽유록』(金華寺
제310사(事) 전악(轉惡: 악함을 전함)-『사씨남정기』의 교씨와
제311사(事) 대(大: 큼)-『진본청구영언』(珍本靑丘永言) 487-
제312사(事) 감상(勘尙: 죄를 더함)-『사씨남정기』의 교씨 죄
제313사(事) 무탄(無憚: 두려워함이 없음)-『김인향전』의 계모
제314사(事) 취준(驟峻: 갑자기 험악해짐)-『춘향전』의 수청
제315사(事) 외선(外善: 겉으로만 착함)-『명주보월빙』의 성난
제316사(事) 소(小: 작음)-『심청전』의 뺑덕어미-
제317사(事) 배성(背性: 본성을 버림)-『매일신문』의 「창씨(
제318사(事) 단련(斷連: 끊고 이음)-『사씨남정기』의 요악(妖
제319사(事) 불개(不改: 고치지 못함)-『대한매일신보』 중 「
제320사(事) 권린(勸隣)-『심산유고』ㆍ「양가비수」(梁家匕首)
Ⅲ. 나오며
제8장 응함론(反應論)
Ⅰ. 들어가기
Ⅱ. 응(應)ㆍ진선미(眞善美) 의식
제321사(事) 응(應: 응보)-『춘향전』의 변 부사와 춘향의 응보
제322사(事) 적(積: 쌓음)-『구운몽』(九雲夢)의 몽유공간의 삶
제323사(事) 극존(極尊: 지극히 존귀함)-『어천가』(御天歌)의
제324사(事) 거유(巨有: 크게 소유함)-『古今歌曲』 259의 덕치
제325사(事) 상수(上壽: 오래 삶)-『槿花樂府』 28의 요순(堯舜
제326사(事) 제손(諸孫: 여러 자손)-『보한집』 상권의 적선가(
제327사(事) 강녕(康寧: 건강하고 편안함)-『춘향전』의 이몽룡
제328사(事) 선안(仙安: 신선의 안락함)-『전우치전』의 도술-
제329사(事) 세습(世襲: 대대로 물려받음)-『백학선전』의 가문
제330사(事) 혈사(血祀: 피로 제사 지냄)-정몽주(鄭夢周)의 만
제331사(事) 중(重: 무거움)-『전우치전』의 대종신리(大倧神理
제332사(事) 복중(福重: 복이 거듭 쌓임)-『보한집』(補閑集)
제333사(事) 옥백(玉帛: 옥과 비단)-『흥부전』의 흥부-
제334사(事) 절화(節化: 절개로 화함)-『야은선생언행언행습유
제335사(事) 현예(賢裔: 어진 후손)-「서동요」(薯童謠)의 서동
제336사(事) 건왕(健旺: 굳건하고 왕성함)-권근의 「하탄일전」
제337사(事) 길경(吉慶: 길하고 경사스러움)-『춘향전』 춘향의
제338사(事) 세장(世章: 대대로 문장)-삼주(三洲) 이정보(李鼎
제339사(事) 담(淡: 맑음)-송순(宋純)의 「금오산」(金烏山)-
제340사(事) 응복(應福: 복에 응함)-채제공(蔡濟恭)의 「한거」
제341사(事) 유고(裕庫: 넉넉한 창고)-「영종대왕전교」의 은전
제342사(事) 무액(無厄: 액이 없음)-퇴계의 「과선생려」(過先
제343사(事) 이수(利隨: 이익이 따름)-김종직의 「이존녹어」(
제344사(事) 천권(天捲: 하늘의 걷힘)-야은의 생활을 반영한 한
제345사(事) 영(盈: 가득 참)-16세기 어무적(魚無迹)의 「금오
제346사(事) 뇌진(雷震: 우레와 벼락)-『숙향전』의 벼락 응징(
제347사(事) 귀갈(鬼喝: 귀신의 부름)-『숙향전』의 전생 죄 업
제348사(事) 멸가(滅家: 집안이 멸함)-『삼국유사』 의 「조신
제349사(事) 절사(絶祀: 제사가 끊어짐)-『춘향전』의 기자정성
제350사(事) 실시(失屍: 시신을 잃음)-『금방울전』의 김삼랑-
제351사(事) 대(大: 큼)-『변강쇠전』의 변강쇠-
제352사(事) 인병(刃兵: 병사들의 칼날)-『유충렬전』의 정한담
제353사(事) 수화(水火: 물과 불)-『유충렬전』의 충렬-
제354사(事) 도적(盜賊: 해로운 도둑)-『사씨남정기』의 동청
제355사(事) 수해(獸害: 짐승의 피해)-『장화홍련전』의 장쇠-
제356사(事) 형역(形役: 형벌의 노역)-고소설상 주인공의 죄업(
제357사(事) 천라(天羅: 하늘의 그물)-『춘향전』의 천상의 죄
제358사(事) 지망(地網: 땅의 그물)-신석정의 「슬픈 구도」(構
제359사(事) 급신(及身: 몸에 미침)-『숙향전』의 숙향 사기(邪
제360사(事) 소(小: 작음)-『古今歌曲』 12의 선악-
제361사(事) 빈궁(貧窮: 가난하여 궁색함)-『흥부전』의 놀부
제362사(事) 질병(疾病: 모든 병)-『개벽』(開闢) 65호의 「조
제363사(事) 패망(敗亡: 실패하여 망함)-이상화의 「통곡」(慟
제364사(事) 미실(靡室: 가족이 없음)-송만재(宋晩載)의 『관우
제365사(事) 도개(道개: 길에서 구걸함)-한용운의 「당신을 보
제366사(事) 급자(及子: 자손에게 미침)-『삼국유사』 권3 「조
Ⅲ. 나오며
부록 홍익오경(弘益五經)
Ⅰ. 『천부경』(天符經)
Ⅱ. 『지부경』(地符經)
Ⅲ. 『인부경』(人符經)
Ⅳ. 『삼일신고』(三一神誥)
Ⅴ. 『참전계경』(參佺戒經)
색인
저작글 공지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 · 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¼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승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군신화의 수용이라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웅녀로 변신하고 환웅과의 신성혼(神聖婚)으로 단군을 낳아 366사(事)로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웠으니, 이는 경제대국을 세우는 것과 통하는 내용이므로 21세기 한국인이 본받아야 할 사항이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한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