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U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1,238
0
0
0
0
0
10년전
0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 상
PDF
구매시 다운가능
687p
25.9 MB
한국소설
윤경수
한국학술정보
모두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¼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
28,800
원 구매
목차
161
소개
저자
댓글
0
한국고대문학사상의 탐구(상)
책을 내면서
제1장 정성론(精誠論)
Ⅰ. 들어가며
Ⅱ. 성장(誠章)
제1사(事) 성(誠)-웅녀문화콘텐츠 개발과 숭고미-
제2사(事) 경신(敬神: 신을 공경함)-『심청전』의 심청문화콘텐
제3사(事) 존봉(尊奉: 높이 받듦)-고려 이숙기 『묘지명』(墓誌
제4사(事) 숭덕(崇德: 덕을 숭상함) - 『매월당문집』, 「단군묘
제5사(事) 도화(導化: 교화하여 인도함)-『춘향전』의 절개미(節
제6사(事) 창도(彰道: 바른길을 밝힘)-단군문화콘텐츠 개발-
제7사(事) 극례(克禮: 지극한 예)-단군신화의 곰→웅녀환생-
제8사(事) 숙정(肅靜: 엄숙하고 고요함)-「관서악부」(關西樂府)
제9사(事) 정실(淨室: 정결한 곳)-현진건의 『단군성적순례기』(
제10사(事) 택재(擇齋: 가려서 재계)-참성단(塹城壇) 태종어제(
제11사(事) 회향(懷香: 향을 품음)-이색(李穡)의 한시(漢詩)-
제12사(事) 정심(正心: 바른 마음)-원천석의 『운곡행록』(耘谷
제13사(事) 의식(意植: 뜻을 심음)-『구운몽』의 성진의 생활상-
제14사(事) 입신(立身: 몸을 세움)-윤동주의 「서시」-
제15사(事) 불혹(不惑: 미혹하지 않음)-『춘향전』의 변 부사-
제16사(事) 일엄(溢嚴: 엄숙함이 넘침)-안중근의 『유시』(遺詩)
제17사(事) 허령(虛靈: 비어 신령함)-『구운몽』의 육관대사-
제18사(事) 치지(致知: 앎에 이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제19사(事) 폐물(閉物: 만물을 닫음)-한용운의 『님의 침묵』-
제20사(事) 척정(斥情: 정욕을 물리침)-정극인의 「상춘곡」(賞
제21사(事) 묵안(默安: 잠잠하여 편안함)-「이상곡」(履霜曲)의
제22사(事) 불망(不忘: 잊지 않음): (誠 3體)-『심청전』의 심청
제23사(事) 자임(自任: 스스로 믿음)-심청의 효성미(孝誠美)-
제24사(事) 자기(自記: 저절로 기억함)-『금오신화』 중 「남염
제25사(事) 첩응(貼膺: 가슴에 간직함)-심청의 출전지효(出天之
제26사(事) 재목(在目: 눈에 있음)-이육사(李陸史)의 「청포도」
제27사(事) 뇌허(雷虛: 우레도 공허함)-안중근의 서예작품-
제28사(事) 신취(神聚: 정신을 모음)-춘향, 심청, 흥부의 입사식
제29사(事) 불식(不息: 쉬지 않음)-흥부는 성실한 농부-
제30사(事) 면강(勉强: 힘써 강함)-『정수정전』의 주인공 수정-
제31사(事) 원전(圓轉: 둥글게 구름)-춘향의 일편단심-
제32사(事) 휴산(休算: 계산을 쉼)-『춘향전』의 기자정성(祈子
제33사(事) 실시(失始: 시작을 잃음)-윤선도(尹善道)의 시조-
제34사(事) 진산(塵山: 티끌 산)-정성의 산(山)을 이룬 흥부-
제35사(事) 방운(放運: 본받아 운행함)-『제망매가』의 성력(誠
제36사(事) 만타(慢他: 다른 일에 게으름)-『춘향전』의 변 부사
제37사(事) 지감(至感: 감응에 이름)-『동가선』(東歌選) 168의
제38사(事) 순천(順天): (誠 5體 32用)-신석정의 시-
제39사(事) 응천(應天): (誠 5體 33用)-『화서선생』 아언(雅言)
제40사(事) 청천(聽天): (誠 5體 34用)-『숙향전』의 숙향-
제41사(事) 낙천(樂天: 하늘의 뜻을 즐거워함)-심청의 자락(自樂
제42사(事) 대천(待天: 하늘의 감응을 기다림)-금와왕(金蛙王)의
제43사(事) 대천(戴天: 머리에 하늘을 이고 삶)-신석정의 「들길
제44사(事) 도천(禱天: 하늘의 기도함)-단군신화의 동굴모티프
제45사(事) 시천(恃天: 하늘을 믿음)-『어유야담』(於于野譚) 인
제46사(事) 강천(講天: 천도를 강론함)-『장화홍련전』의 자매-
제47사(事) 대효(大孝: 큰 효도)- 「계녀가」(戒女歌)의 효성-
제48사(事) 안충(安衷: 정성을 다하여 편안함)-『적성의전』의
제49사(事) 쇄우(鎖憂: 근심을 막음)-『심청전』의 효행-
제50사(事) 순지(順志: 뜻을 따름)-박장원(朴長遠)의 「반포오」
제51사(事) 양체(養體: 몸을 봉양)-『계녀가』(戒女歌)의 시부모
제52사(事) 양구(養口: 입맛에 맞게 봉양함)-『계녀가』의 물질
제53사(事) 신명(迅命: 명은 빠르게 행함)-『사씨남정기』의 사
제54사(事) 망형(忘形: 몸을 잊음)-사씨 부인의 대효(大孝)-
Ⅲ. 나오며
제2장 믿음론(信義論)
Ⅰ. 들어가며
Ⅱ. 신(信), 자연의 순리와 단군신화를 모법
제55사(事) 신(信: 믿음)-단군신화의 신표-
제56사(事) 의(義: 의로움)-변계량(卞季良)의 시조(時調)-
제57사(事) 정직(正直: 바르고 곧음)-이양연(李亮淵의 『야설』(
제58사(事) 공렴(公廉: 공정하고 청렴함)-『사씨남정기』의 사씨
제59사(事) 석절(惜節: 절개를 아낌)-『이생규장전』의 최랑-
제60사(事) 불이(不貳: 둘이 아님)-경상도 현풍의 허녀(許女)-
제61사(事) 무친(無親: 친함이 없음)-『환단고기』의 천부인(天
제62사(事) 사기(捨己: 자기를 버림)-김택영(金澤榮)의 한시(漢
제63사(事) 허광(虛?: 빈말로 속임)-이 어사(李御使)의 춘향절개
제64사(事) 불우(不尤: 탓하지 않음)-『고산유고』, 견희요」(遣
제65사(事) 체담(替擔: 대신 떠맡음)-박문수에 대한 구비설화-
제66사(事) 약(約: 약속): (信 2團)-최익현(崔益鉉)의 『유시』(
제67사(事) 천실(踐實: 실제로 이행함)-주몽의 편검(片劍)-
제68사(事) 지중(知中: 중용의 도를 앎)-『장화홍련전』에 나타
제69사(事) 속단(續斷: 끊어짐을 이음)-『구운몽』의 주인공 성
제70사(事) 배망(排忙: 바쁨을 물리침)-『동문선』, 「신재기」(
제71사(事) 중시(重視: 중요하게 봄)-『고려사』, 「제위보」(濟
제72사(事) 천패(天敗: 하늘이 깨뜨림)-흥부의 매품 하늘이 파기
제73사(事) 재아(在我: 나에게 있음)-『춘향전』에 나타난 춘향-
제74사(事) 촌적(忖適: 마땅함을 헤아림)-『춘향전』에 나타난
제75사(事) 하회(何悔: 어찌 뉘우칠 일을 하는가)-『신선비』의
제76사(事) 찰합(?合: 꼭 들어맞음)-주몽과 유리(類利)의 친자(
제77사(事) 충(忠: 충성): (信 3團)-『청구영언』(靑丘永言)의
제78사(事) 패정(佩政: 정사를 맡음)-『가곡원류』(歌曲源流) 59
제79사(事) 담중(擔重: 중책을 맡음)-『임진록』에서의 이순신과
제80사(事) 영명(榮命: 명령을 빛냄)-『징비록』에 나타난 정곤
제81사(事) 안민(安民): (信 3團 23部)-「안민가」(安民歌)의 이
제82사(事) 망가(忘家: 집을 잊음)-이극로(李克魯)의 「윤세복
제83사(事) 무신(無身: 몸이 없음)-『임진록』에 나타난 이순신-
제84사(事) 열(烈: 절개 굳음)-이숭인(李崇仁)의 『배열부전』(
제85사(事) 빈우(賓遇: 손님들처럼 예우함)-『금령전』에 나타난
제86사(事) 육친(育親: 부모를 봉양함)-『금령전』의 막씨-
제87사(事) 사고(嗣孤: 외롭게 이음)-『정경부인 해평 윤씨 행장
제88사(事) 고정(固貞: 정절을 굳게 함)-『박씨전』의 박씨
제89사(事) 일구(?仇: 원수와 가까이함)-이복휴(李福休)의 「온
제90사(事) 멸신(滅身: 육신을 버림)-「여강절부가」(驪江節婦歌
제91사(事) 순(循: 순환)-『두껍전』에 나타난 자연의 이치-
제92사(事) 사시(四時: 사계절)-박지원(朴趾源)의 『허생전』-
제93사(事) 일월(日月: 해와 달)-혁거세(赫居世)의 치세(治世)-
제94사(事)의 덕망(德望: 덕을 우러러봄)-춘향의 절개미(節槪美)
제95사(事) 무극(無極: 끝이 없음)-이몽룡이 태평세계로 회복시
Ⅲ. 나오며
제3장 사랑론(愛論)
I. 들어가기
Ⅱ. 애장(愛章), 애미(愛美)로의 승화와 문학 작품
제96사(事) 애(愛: 사랑)-『채봉감별곡』에서의 사랑-
제97사(事) 서(恕: 용서): (愛 1範)-신채호(申采浩)의 『한나라
제98사(事) 유아(幼我: 나와 같이 사랑함)-윤봉길 의사의 한시(
제99사(事) 사시(似是: 옳은 것 같음)-『옥루몽』의 주인공 양한
제100사(事) 기오(旣誤: 이미 그릇됨)-『구운몽』의 주인공 성진
제101사(事) 장실(將失: 장차 잃음)-주세붕의 『매헌선생실기』-
제102사(事) 심적(心蹟: 마음의 자취): (愛 1範 5圍)-놀부의 이
제103사(事) 유정(由情: 정에 말미암음)-『사씨남정기』의 교씨-
제104사(事) 용(容: 포용함)-흥부와 같은 금도(襟度)
제105사(事) 고연(固然: 도리에 떳떳함)-『옹고집전』의 실옹과
제106사(事) 정외(情外: 뜻밖)-『삼국사기』 권41 「구토설화」-
제107사(事) 면고(免故: 고의를 벗어남)-『최고운전』의 최충-
제108사(事) 전매(全昧: 전적으로 우매함)-석북의 『관서악부』(
제109사(事) 반정(半程: 절반 길)-청마 유치환의 「원수」(怨讐)
제110사(事) 안념(安念: 안일한 생각)-『변강쇠전』의 강쇠-
제111사(事) 완급(緩急: 느림과 급함)-『채봉감별곡』의 위기극
제112사(事) 시(施: 베풂): (愛 3範)-『도솔가』(兜率歌)의 구제
제113사(事) 원희(原喜: 원래의 기쁨)-윤희순의 독립군 돕는 노
제114사(事) 인간(認艱: 어려움을 앎)윤희순의 『신세타령』
제115사(事) 긍발(矜發: 불쌍히 여김)-윤희순의 『안사람 의병가
제116사(事) 공반(公頒: 공평하게 나눔)-최돈상의 「최초의 애국
제117사(事) 편허(偏許: 한쪽을 도와줌)-유인석의 『논의원』(論
제118사(事) 균련(均憐: 고르게 가여워함)-『오원집』, 「만덕전
제119사(事) 후박(厚薄: 후하고 박함)-흥부의 보은박(報恩瓢)-
제120사(事) 부혼(付混): (愛 3範 21圍)-흥부의 새끼 제비 치료-
제121사(事) 육(育: 가르쳐 기름)오광운(吳光運)의 「백사가」
제122사(事)의 도업(導業: 생업을 인도함)-박지원의 「허생전」(
제123사(事) 보산(保産: 산업을 보전함)-『농가월령가』의 12월
제124사(事) 장근(奬勤: 부지런함을 권장함)『가사집』(歌詞集
제125사(事) 경타(警墮: 게으름을 경계함)-김천택의 『교주해동
제126사(事) 정로(定老: 노인을 안정하게 함)-한유신(韓維信)의
제127사(事) 배유(培幼: 어린이를 북돋음)-양주동의 「조선의 맥
제128사(事) 권섬(勸贍: 너그러움을 권함)-길재(吉再)의 인재 양
제129사(事) 관학(灌?: 마른 데 물을 댐)-『퇴계집』 언행록, 교
제130사(事) 교(敎: 가르침): (愛 5範)-춘향의 절개-
제131사(事) 고부(顧賦: 품성을 돌아봄)-김복한(金福漢)의 「獨
제132사(事) 양성(養性: 성품을 기름)-『흥부전』에서 흥부의 행
제133사(事) 수신(修身: 몸을 닦음)-춘향의 숭고미-
제134사(事) 주륜(湊倫: 윤리에 합함): (愛 5範 33圍)-『大東風
제135사(事) 불기(不棄: 버리지 않음)-흥부의 우애와 놀부의 감
제136사(事) 물택(勿擇: 가리지 않음)-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제137사(事) 달면(達勉: 달통에 힘씀)-야은의 『오산학원 청풍
제138사(事) 역수(力收: 힘써 공을 거둠)-『옹고집전』의 학대사
제139사(事) 대(待: 기다림): (愛 6範)-『구운몽』의 61년간의
제140사(事) 미형(未形: 형체를 갖추지 못함)-『유충렬전』의 기
제141사(事) 생아(生芽: 싹이 틈): (愛 6範 39圍)-춘향의 인간
제142사(事) 관수(寬遂: 너그럽게 이룸)-처용의 관용미-
제143사(事) 온양(穩養: 편안하게 길러 줌)-유리왕을 칭송한 『
제144사(事) 극종(克終: 끝맺음을 잘함)-『홍길동전』의 율도국-
제145사(事) 전탁(傳托: 전하여 맡김)-상해임시정부의 개천절 행
Ⅲ. 나오며
색인
저작글 공지
근래(200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50개국 대상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핀란드가 두 번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교육 여행의 명소(hot spot)가 됐다는 신문보도가 났다. 핀란드의 중·고의 교육은 세계 최고이지만 각국이 저마다 다른 방법을 개발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외신보도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미(das geschichtlich Schone)의 교육으로 체질화되고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이룬 366사(事)를 배워야 할 것이다.
366사(事)는 366¼일 동안 권선징악을 내용으로 일일일선(一日一善)을 행하면 인과응보에 의해서 물산이 풍부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세우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의식 중 설화나 이야기는 거의 착하게 살아 부귀영화를 누리거나 승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단군신화의 수용이라 할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웅녀로 변신하고 환웅과의 신성혼(神聖婚)으로 단군을 낳아 366사(事)로 홍익인간의 이화세계를 세웠으니, 이는 경제대국을 세우는 것과 통하는 내용이므로 21세기 한국인이 본받아야 할 사항이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한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