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아이디찾기는 이름을 입력, 패스워드찾기는 아이디를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U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알림
문의
1,223
0
0
0
6
0
10년전
0
저항과 지향 : 한국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
PDF
구매시 다운가능
356p
5.5 MB
역사.문화
박진철
한국학술정보
모두
이 책은 우리나라 근ㆍ현대사를 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근현대사는 이전 시대와는 전혀 다른 엄청난 충격의 시대였다. 거대한 강철(鋼鐵) 군함(軍艦)과 상상할 수 없는 화력(火力)을 가진 신무기(新武器)로 무장한 세력이 우리가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문물(文物)과 문화(文化)와 새로운 사회ㆍ경제체제를 우리에게 강요했던 시대였다. 그 엄청난 충격에 때론 저항하고 때론 타협하면서 우리는 변화되었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다. 이렇듯 한국의 근현대사는 충격(衝擊)과 변화(變化)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치열하게 저항(抵抗)하면서 새로운 세상을 지향(志向)했던 시대였다. 이 과정 속에 우리는 ‘민족(民族)’이라는 공동체를 인식하고 재형성하면서 역사를 이어 왔던 것이다. 민족은 공동체..
18,000
원 구매
목차
126
소개
저자
댓글
0
저항과 지향
들어가는 글
Ⅰ. 반외세 민족운동과 근대화운동
1. 위정척사운동(衛正斥邪運動)
(1) 위정척사운동의 역사적 배경
(2)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3) 고종(高宗)의 친정(親政)
(4) 개항(開港)과 수교(修交)
보충자료
1.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영인사진
2. 『高宗實錄』, 高宗13년 2월 3일(乙丑)
2. 고종(高宗)의 자강정책(自强政策)
(1) 고종의 자강정책 추진(推進)
(2) 자강정책 추진기구(推進機構)의 설치(設置)와 운영(運營)
3. 개화운동
(1) 1882년 임오군변(壬午軍變)
(2) 청의 내정 간섭과 고종의 자강정책 재추진
(3) 조(朝)ㆍ청(淸) 관계의 변화와 개화세력의 분화
(4)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5) 고종의 반청자주정책(反淸自主政策)
보충자료
갑신정변 14개조 정강
4.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1) 1894년 갑오농민전쟁
(2)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용어(用語)와 해석의 논점
(3) 갑오농민전쟁의 성격
보충자료
1. 東學史(草稿本)
2. 동학농민혁명 자료총서-東學史(草稿本) 이미지 자료 중집강
3. 續陰晴史卷七高宗31年甲午正月~12月
4. 농민군의 4개 약속
5. 갑오개혁과 을미사변
(1) 제1차 개혁(1894. 7.~1894. 12.)
(2) 제2차 개혁(1894. 12. 17.~1895. 7.)과 삼국간섭
(3) 을미사변과 제3차 개혁
보충자료
1. 『高宗實錄』 「고종 34년 11월 22일(陽曆)/세상을 떠난 황후
2. 갑오 7월 29일 군국기무처 회의를 통과 시행된 제1안의 전문2
3. 홍범 14조(洪範十四條)
6. 대한제국(大韓帝國)과 독립협회운동
(1) 고종(高宗)의 아관이어(俄館移御)
(2) 대한제국(大韓帝國)과 광무개혁(光武改革)
(3) 독립협회운동
보충자료
1. 문서제목 (8) 朝鮮國大君主竝ニ世子宮露國公使館ニ入御顚末報
2. 『高宗實錄』(고종 34년 10월 11일(陽曆)/현임 대신과 전임
3. 大韓國國制
4. 獨立協會
Ⅱ. 구국 민족운동
1. 러일전쟁과 을사늑약(乙巳勒約)
(1) 러일전쟁(Russo-Japanese Wars)
(2) 을사늑약(乙巳勒約)
보충자료
1. 韓日協商條約
2. 間島에 관한 淸ㆍ 日協約
3. 고종친서 영인사진
4. 國璽관련 규정
5. 讓位
2. 항일 의병전쟁(抗日義兵戰爭)
(1) 전쟁과정
(2) 전쟁의 성격
(3) 전쟁의 발전
3. 민족자강운동(民族自强運動)
(1) 민족자강운동의 두 흐름과 운동세력
(2) 민족자강운동의 사상적(思想的) 기반(基盤)
(3) 민족자강운동의 구체적 방법
(4) 민족자강운동의 성격
Ⅲ. 민족해방운동
1.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강제병합
(2) 1910년대 일제의 식민통치[무단통치(武斷統治)]
(3) 1910년대 민족운동
보충자료
日韓倂合條約
2. 1919년 3ㆍ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1) 1919년 3ㆍ1운동
(2) 대한민국임시정부
보충자료
1. 『3ㆍ1운동기 입감자 수』
2. 公約三章(공약 3장)
3. 己未獨立宣言書(기미독립선언서)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임시헌장
5. 대한민국 임시헌법
3.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1) 일제의 식민통치 강화와 문화통치(文化統治)
(2) 1920년대 민족운동의 발전(發展)과 분화(分化)
4. 1930∼40년대 초 민족해방운동
(1) 전시체제기 일제의 식민통치
(2) 1930~40년대 초 민족운동
Ⅳ. 해방 후 민족운동
1. 해방과 분단
(1) 해방의 의미와 과제
(2) 분단, 어떻게 볼 것인가
2. 신탁통치문제와 통일정부수립운동
(1) 신탁통치문제(信託統治問題)
(2) 통일정부수립운동(統一政府樹立運動)
보충자료
1. 좌우합작(左右合作) 7원칙(原則)
2.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과정
3. 한국전쟁(韓國戰爭)
(1) 한국전쟁의 기원(起源)과 배경(背景)
(2) 한국전쟁의 전개과정과 성격(性格)
(3) 한국전쟁의 영향(影響)
보충자료
이승만 정권의 농지개혁
4. 제1공화국과 4월혁명(四月革命)
(1)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
(2) 4월혁명(革命)
(3) 제2공화국의 붕괴요인
보충자료
大韓民國行政府
5. 군사정권(軍事政權)
(1) 5ㆍ16군사쿠데타와 제3공화국
(2) 유신체제(維新體制)
(3) 유신체제의 붕괴와 신군부(新軍部)의 등장
보충자료
1. 경비사관학교(육사) 졸업생
2. 5ㆍ16군사쿠데타 세력의 ‘혁명공약’
6. 민주화운동(民主化運動)
(1) YH사건과 부마항쟁(釜馬抗爭)
(2) 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좌절
(3) 5ㆍ18 광주항쟁
(4) 6월시민항쟁
나오는 글
참고문헌
저작권 공지
이 책은 우리나라 근ㆍ현대사를 민족운동의 역사적 전개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근현대사는 이전 시대와는 전혀 다른 엄청난 충격의 시대였다. 거대한 강철(鋼鐵) 군함(軍艦)과 상상할 수 없는 화력(火力)을 가진 신무기(新武器)로 무장한 세력이 우리가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문물(文物)과 문화(文化)와 새로운 사회ㆍ경제체제를 우리에게 강요했던 시대였다. 그 엄청난 충격에 때론 저항하고 때론 타협하면서 우리는 변화되었고 새로운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다. 이렇듯 한국의 근현대사는 충격(衝擊)과 변화(變化)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치열하게 저항(抵抗)하면서 새로운 세상을 지향(志向)했던 시대였다. 이 과정 속에 우리는 ‘민족(民族)’이라는 공동체를 인식하고 재형성하면서 역사를 이어 왔던 것이다. 민족은 공동체적 삶의 양식과 동질적 문화전통의 계승을 가능케 하는 주된 역사적 근거로 자리 잡아 왔다. 특히 지난 한 세기여 동안의 한국 근현대사는 유례없이 민족문제로 점철된 역사였다. 열강의 침략위협과 일제의 국토강점 및 식민지화(植民地化), 해방 후의 민족분단(民族分斷)과 동족상잔(同族相殘)의 전쟁이 모두 전형적인 민족문제들이었다. 결국 한국의 근현대사는 이와 같은 민족문제의 해결과 민족사회 발전의 염원을 담은 고투(苦鬪)의 역사, 즉 민족운동의 전개사이기도 했다. 그렇기에 한국의 민족운동은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는 우리에게 막연히 존재했던 ‘원형적(原型的) 민족’에서 근대적 민족국가를 전제로 하는 근대적(近代的) 민족공동체(民族共同體)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근대적 민족은 외세(外勢)라는 다른 민족과 접촉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외세의 침략적 속성을 간파하고 이에 저항하면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우리 민족이 근대적 민족으로 그 정체성을 갖게 되는 데에는 ‘저항의 민족주의’가 작용하고 있었다. 동시에 근대라는 새로운 시대에 대한 지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렇듯 우리의 민족운동은 단순한 저항운동이 아닌 새로운 세상을 지향하는 변혁적 근대화운동(近代化運動), 반침략적(反侵略的) 구국운동(救國運動), 국민주권(國民主權)을 되찾고자 하는 민족해방운동(民族解放運動), 신국가건설운동(新國家建設運動)과 민족통일운동(民族統一運動), 그리고 민주화운동(民主化運動)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 민족운동의 장기적 흐름을 폭넓게 이해하고 그 저변의 사상사적 배경과 정신사적 전통도 확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현재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컨텐츠에 대해 남기고 싶은 말은?
확인
수정확인
수정취소
U캐쉬로 구매하기
상품컨텐츠명
상품세부내용
결제전 U캐쉬
0 UCASH
결제할총금액
원
결제후 U캐쉬
UCASH
저자무료 선물증정
선물받는분 이메일
여러 이메일 입력시 ; (세미콜론) 구분, 이메일주소 최대 100개까지 가능.
선물 보낼 내용입력
300글자 이내의 메시지만 가능합니다.
구독권 결제
신용카드번호
카드유효기간
생년월일
사업자번호
패스워드
앞2자리
로그인
가입
한
한국학술정보 이담북스
분류
전체보기
distributed
New node
신규
인기
베스트
추천
구매
팬심
팬심
알림
문의
프로필
팔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