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1 0 0 0 2 0 10년전 0

북한의 옛집 : 그 기억과 재생 (함경도 편)

이 책은 저자와 그의 팀이 지난 1996년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조사한 북한 전통주거의 연구 성과를 대중화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전통 주거에 대한 연구는 그 명맥이 끊어졌고,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개략으로 작성한 도면이나 해방 이후 북한학자들이 민속학적으로 소개한 2∼3권 정도의 책이 인용, 재인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1996년도 시작된 이 연구는 실향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옛집과 건설과정, 주생활 등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북한지역 전통주거의 성격을 파악 하려는 것이었다. 비록 실향민들의 오래된 기억에 의존하였으나, 그들이 직접 그려준 도면은 기대 이상으로 상세하고 구체적인 것이었기에 현장에서 실측조사된 것 못지않은 도면자 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
이 책은 저자와 그의 팀이 지난 1996년부터 약 3년간에 걸쳐 조사한 북한 전통주거의 연구 성과를 대중화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지역의 전통
주거에 대한 연구는 그 명맥이 끊어졌고,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개략으로 작성한 도면이나 해방 이후 북한학자들이 민속학적으로 소개한 2∼3권 정도의 책이 인용,
재인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1996년도 시작된 이 연구는 실향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옛집과 건설과정, 주생활 등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 북한지역 전통주거의 성격을 파악
하려는 것이었다.
비록 실향민들의 오래된 기억에 의존하였으나, 그들이 직접 그려준 도면은 기대 이상으로 상세하고 구체적인 것이었기에 현장에서 실측조사된 것 못지않은 도면자
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150여 건이 넘는 풍부한 도면과 주생활 자료를 얻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연구는 이미 건축역사학회지를 통하여 2편의 논문이 발표된 바 있다.
제1장에서는 북한의 옛집을 재현하기 위해 기억과 재생이라는 연구방법을 선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한다. 2장에서는 함경도의 역사와 생태환경을 개관하였고 3장에
서는 함경도 옛집의 일반적 성격에 대해 말한다. 4장은 3장에 이어 함경도 옛집의 지역적 차이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5장은 계층적 차이, 6장은 함경도 주택의 변
화 양상을 살피고 있다.
7장과 8장에서는 함경북도와 함경남도 옛집의 사례들을 실향민들이 기억에 의존해 그린 평면도와 이를 보정한 평면도를 함께 실어 이해를 돕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